
[사람과뉴스 안근학 기자] 평택시 산하 공공기관인 평택산업진흥원(이사장 정장선 평택시장)에서 발생한 불법촬영 사건으로 인해 시민들의 충격과 분노가 커지고 있다.
시민단체 '평택시민재단(이사장 이은우)'은 21일 성명서를 발표하며 해당 사건을 강력히 규탄하고, 평택시와 정장선 시장에게 투명한 진상 공개와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평택산업진흥원'몰카' 사건, 공공기관 신뢰 훼손
(사)평택시민재단(이사장 이은우)에 따르면, 평택산업진흥원 직원 A씨는 여직원들을 불법 촬영할 목적으로 사무실 책상에 소형 카메라를 설치했다가 발각되어 현재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에서 일터가 몰카 범죄의 위험 지대가 되었다는 사실에 피해 여직원들은 물론, 평택 시민 모두가 큰 충격을 받고 있다.
재단은 "불법 촬영은 피해자의 인격을 무너뜨리는 중대 범죄"라며, "이런 중대 범죄가 평택시 공공기관에서 발생했다는 사실 자체가 시민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사건 이후 평택시와 평택산업진흥원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며 내부 단속에만 신경 쓰고 있어 2차 피해를 겪고 있는 여직원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장선 평택시장 책임론 대두
이번 사건을 계기로 평택산업진흥원의 관리 부실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이사장을 맡고 있는 정장선 평택시장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졌다. 재단은 "정장선 평택시장은 시민 사회의 건전한 문제 제기를 수용하지 않고 논란과 문제가 많은 이학주 원장을 지난해 연임시켰다"고 주장하며,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이 부적절한 인사 결정에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 결과 조직은 망가졌고 공공기관과 사무실에서 몰카 중대 범죄 사건이라는 참담한 일이 벌어졌다"고 비판하며, 정 시장이 현 상황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혁신 방안과 인사 쇄신 촉구
평택시민재단은 정장선 시장이 지금이라도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평택산업진흥원의 혁신 방안과 조직 쇄신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시민을 위한 역할과 책무성보다 자신의 밥그릇에만 충실한 인사를 공공기관 임원에 임명하는 무능한 인사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총체적 부실 드러낸 평택시 산하 기관들 비판 이어져
평택시의회 부의장을 지낸 이병배 전시의원은 SNS통해 평택시는 민선 7기와 8기에 걸쳐 여러 기관과 센터들을 우후죽순처럼 설립했지만, 오래전부터 이렇다 할 성과 없이 세금만 낭비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미 평택시 산하 기관과 센터의 업무추진비 오남용, 부실한 회계, 성과 부재에 대한 우려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이번 사건의 중심에 있는 평택산업진흥원은 시 감사에서 무려 35건의 지적을 받았으며, 이 중 13건이 예산·회계 문제였다. 전문성과 신뢰성 모두 도마 위에 오른 상황에서 불미스러운 사건까지 발생하며 시민들의 불신은 극에 달하고 있다.
또한, 제대로 된 사후 조치 없이 상황을 방치하여 피해자에게 2차 피해를 입힌 평택산업진흥원장의 사퇴를 강력히 요구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한 개인의 범죄를 넘어, 평택시 공공기관의 운영 시스템과 인사 관리에 대한 총체적인 부실을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시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평택시와 정장선 시장이 어떤 조치를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사람과뉴스 안근학 기자 기사제보 codao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