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10.02 (목)

세계 도덕재무장 운동을(MRA) 아시나요? -(1부)

 세계 도덕재무장 운동(MRA) 이세제 이사 소개 글이 3회에 걸처 게제 됩니다.

이 세재


전) 청북초등학교장.
논설위원 및 칼럼니스트.
평택서부노인복지관 운영위원장.
세계도덕재무장 한국 본부 협력이사.
 

 

세계 도덕재무장 운동을(MRA) 아시나요? -(1부)

 

세계 도덕 재무장운동(世界 道德 再武裝運動, Moral Re-Armament,MRA)은 세계 제2차대전이 일어나기 직전인 1938년 6월 4일 영국의 런던에서 발족하였다. 인종· 민족· 종교· 계급· 정파를 초월하여 “새로운 세계의 창조” 라는 공통된 슬로건 아래에서, 인간성의 사고방식을 바꾸어 놓은 세계적인 도덕성 운동이다.

 

  창시자로서는 미국의 펜실바니아주의 피츠버어크에서 태어난, ‘프랭크 북맨’ (Frank N. D. Buchman, 1878~1961) 박사이다. 세계 제2차대전 당시의 전쟁과 사회 갈등을 극복하고, 인류의 평화와 화합을 이루기 위하여, 개인과 기업· 정치권이 서로가 “도덕적인 무장”을 해야 한다는 사상에서 출발하였다.

 

  본 조직의 배경을 살펴보면 1930년대 후반경, 유럽은 파시즘(fascism)과 공산주의 및 제국주의 대립에서 전쟁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 이때 ‘프랭크 뷰크만’은 “인류가 군사적인 무장이 아니라, 도덕적· 정신적인 무장을 통해서만이, 전쟁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기독교 정신의 기반 위에서 개인과 사회의 도덕적 쇄신을 강조하며, 이를 “세계 도덕재무장운동(MRA)”으로 명명하고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가 곧 인간 개조의 운동이 되었다.

 

  그 이후 “인간ㅈ 개조운동(人間 改造運動)”을 전개하면서, 1938년 9월 3일에 스위스의 ‘인터라겐’ 시(市)에서 제1차 국제적인 세계대회를 개최하였다. 이것이 바로 “도덕 재무장 운동”의 출발점 행동이 되었다.

 


MRA 운동은 종교를 초월 했지만 기독교 정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개인과 사회가 다음의 4대 절대가치의 이념을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본 4대 이념의 가치가 지니는 도덕성의 표준 덕목은, 1938년 6월 4일에 성경 “마태복음” 5장의 “산상수훈(山上垂訓)”에서 발췌 인용을 하였다. 그 선정과 판단의 기준은 “어느 누구의 의견이 옳으냐가 아니라, 어떤 무엇이 옳으냐” 라고 하는 관점이, 판단의 기준이 되고 있다는 사실로서, 다음의 4가지 덕목을 설정하였다.

 

  첫째, 절대 정직(Absolute Honesty)이다. - (개인적인 도덕성이다)
양심에 호소하자./ 거짓말을 하지 말자./ 인간 본연의 마음에서 판단하자./ 언행일치를 하자./ 부정부패와 비리의 생활을 엄단 하자는 내용의 덕목이다.

 

  둘째, 절대 순결(Absolute Purity)이다. - (가정생활의 도덕성이다.)
깨끗한 생각을 갖자./ 도둑질을 하지 말자./ 욕심을 버리자./ 친절 하자./ 정의로운 생활을 하자는 덕목이다.

 

  셋째, 절대 무사심(Absolute Unselfishness)이다.- (국민의 도덕성이다)
욕심 이기심을 버리자./ 서로 돕고 협력하자./ 봉사하자./ 갈등을 해소하자./ 진실된 행동을 하자./ 폭력을 하지 말자./ 살인 강간하지 말자 라는 내용의 덕목이다.

 

  넷째, 절대 사랑(Absolute Love)이다. - (인류 최고의 도덕성이다)
아껴주고 사랑하자./ 싸우지 말자./ 인류의 평화를 구축하자./ 증오심을 버리자./ 남을 미워하지 말자./ 욕하지 말자 라는 내용의 덕목이다.

 

  위와 같은 4가지의 이념과 가치를 실현한다면, 개인의 내적인 변화와 개혁은 물론, 국가와 사회의 변화로 이어진다고 보는 견해의 주장이다.

 

  이에 따른 MRA의 주요 활동 내용으로서는 첫째, 전쟁 방지를 위해 국제간의 신뢰와 회복 운동 전개하고 둘째, 기업· 정치· 노동 분야에서 부패를 청산하고 협력을 촉진 강조하며 셋째, 세계 제2차대전 이후에는 화해 운동에 주력을 하였다.-(독일과 프랑스의 화해, 아프리카 식민지 독립 과정에서의 평화적 전환 지원 등) 넷째, 세계 각국에서는 회의· 연극· 각종 문화 활동을 통해서, MRA가 지향하는 4대 실천 이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1950~60년대에는 세계 100여 개국에서, 본 MRA 운동이 전개될 정도로 확산되었고, 유럽의 전쟁 이후에 국제간의 화해와, 아프리카의 식민지 정책의 탈피, 그리고 아시아 국가의 도덕성 회복 운동에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001년 이후 MRA의 명칭을, "변화와 주도(變化와 主導 : Initiatives of Change (I of C)" 라는 명칭으로, 바꾸어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주요 활동 내용으로는 평화 구축· 부패 척결· 갈등 해소· 청소년의 리더십 육성의 분야에서 국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처럼 “세계 도덕재무장운동(MRA)”은, “군사적 무장이 아닌, 인간 본성의 도덕적인 무장을 통해 세계 평화를 이룬다.”는 목표로 시작된 국제적인 도덕적 운동으로서, 인간 개개인의 양심적인 변화와 행동만이, 국가사회의 변화를 이끈다는 점을 강조한 운동이다.

 

   따라서 법을 앞세우기 보다는, 인간은 인간 본연의 심성과 이성으로 돌아가, 인간의 탈을 쓰고 자신의 양심에 따라 생각하고, 도덕성에 입각하여 행동하자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즉 인간 본연의 심성과 도덕적인 양심에 따라, 행동하고 실천하는 운동이 바로 “세계 도덕 재무장 운동”이다.